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WE326

.PHONY 포니타겟 포니파일 Makefile 포니 타겟은 실제 파일의 이름이 아닌 타겟이다. 포니 타겟의 사용 목적은 두 가지이다. 1) 같은 이름의 파일과 충돌을 막기 위해 2) 퍼포먼스 향상을 위해 만약 실제 타겟 파일을 생성하지 않는 규칙을 만든다면, 이 규칙은 make시 항상 실행하게 된다. clean : rm *.o temp 왜냐하면 rm 명령어는 clean이라는 이름의 파일을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rm 명령어는 'make clean'을 할 때마다 항상 실행된다. 만약 clean이라는 파일을 이 디렉토리에 만들면, clean 타겟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 clean은 필요 항목이 없기 때문에, clean은 언제나 최신 파일로 고려되고 위 규칙은 수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막기위해 PHONY 타겟이라고 명시적으로 선언한다. .PH.. 2021. 12. 20.
유닉스 리눅스 유틸리티 Make Makefile 기초 (2) 2장 매크로 https://flower0.tistory.com/459 유닉스 리눅스 유틸리티 Make Makefile 기초 (1) 1장 컴파일, 실행, 디버그 타깃 make를 사용할 때 위 예제에서 나오는 program 같은 파일을 작업할 타깃(target)이라고 한다. target은 필요 항목(prerequisites) 또는 종속 항목(dependents)이라는 파일들을 기.. flower0.tistory.com 위 내용에 이어서 설명하고자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 설명할 내용을 맛보기로 보자면, 매크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코드 개선이 가능하다. 매크로 정의 방법 name = text string // 선언 $(name)// 사용방법 ${name} name은 text string으로 치환된다. 참고로.. 2021. 12. 10.
유닉스 리눅스 유틸리티 Make Makefile 기초 (1) 1장 컴파일, 실행, 디버그 타깃 make를 사용할 때 위 예제에서 나오는 program 같은 파일을 작업할 타깃(target)이라고 한다. target은 필요 항목(prerequisites) 또는 종속 항목(dependents)이라는 파일들을 기반으로 빌드된다. 그리고 이들 각 파일들은 또 다시 파일들을 필요 항목으로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 파일들을 링크하여 실행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경우, 소스파일이나 헤더 파일이 변경되면 개발자는 오브젝트 파일을 링크하기 전에 컴파일부터 다시 해야 한다. 따라서 소스 파일 각각은 그에 연결되는 해당 오브젝트 파일의 필요 항목이 되는 셈이다. 기술 파일 makefile이나 Makefile을 기술 파일(description file)이라 부른다. make는 기.. 2021. 12. 9.
QWidget과 QDialog의 차이 - Modal/Modeless QWidget과 QDialog의 사용 용도 - QWidget : 보통의 윈도우창.(임베디드환경제외) 보통 윈도우창이라고하면 프레임도 있고 상단에 타이틀 바도 있는 모습 - QDialog : 대개 짧은 기간의 일을 처리할 때 사용되는 창 (예: 메시지 팝업창, 경고창 등) 윈도우에서 띄우는 방법 - QWidget: show() 함수를 통해 화면을 띄울 수 있다. -> modeless - QDialog: exec() 함수를 통해 화면을 띄울 수 있다. -> modal이다. Modal / Modeless 개념 modal 과 modeless 는 윈도우에 창을 띄울 때 사용되는 개념이다. - modal : modal 속성으로 창을 띄우면 해당 창이 윈도우에서 가장 top-level에 띄워지게 된다. 그리고 다른 .. 2021. 12. 2.
반응형